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당내량 감퇴란 무엇인가

by guideinfo 2021. 5. 6.
반응형

당내량 감퇴란? 당내량(糖耐量) 감퇴는 혈당이 정상인보다 높지만 당뇨병 진단표에는 도달하지 않는 상황을 말한다. 즉, 공복혈당 장애로, 그 수치를 보면 공복시 혈당이 110~ 125mg/dl이고, 식후 2시간 후 혈당이 140mg/dl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이런 환자들은 아무런 증세가 없으며 특히 공복혈당은 정상 일 수 있으나 식사 후에야 혈당이 높아진다.

 

이런 환자가 임신하면 태아에게 불리하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질병이라고 할 수 는 없으나 당뇨병 발병 전의 한 과정에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쉽게 당뇨병으로 전환되고 심혈관 질병도 동반하기에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즉, 이런 환자는 5~10년 후 1/3이 당뇨병으로 전환되고 1/3 은 정상을 회복했지만 1/3은 그 상태로 지속되었다. 40대 이후 중년의 경우 10명 중 4명꼴로 이 경우에 해당되며 결국 당뇨로 진행되는 진행형 당뇨(일명 1.5형 당뇨)로 봐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어떻게 하면 당뇨병으로 전환되지 않고 심혈관 질병의 발생도 예방할 것인가 하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

 

심혈관 질병을 쉽게 동반하는 원인은 보통 비만(특히 복부비만), 고지혈증(혈액에 콜레스테롤 및 기타 잡질), 고혈압 등이 함께하기 때문이며 이런 요소들은 심혈관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중국 고대 “황제내경(皇帝內徑)”은 “상공 치미병(上工治未病)”이라 했는데 훌륭한 의사는 예방을 위주로 한다는 뜻이다.

 

당내량 감퇴를 적극 예방하는 것이 당뇨병과 심혈관 질병을 예방하는 길이다. 그러자면 정기적으로 혈당검사를 하여 초기에 발견 해야 하며 발견 후에는 반드시 서구식 음식을 자제하고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복부지방을 감소시켜야 한다.

 

반응형